반응형
🔦 플리커(Flicker) 현상이란? – 조명 설치 시 반드시 알아야 할 점
LED조명을 설치하거나 리폼할 때 간과되기 쉬운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'플리커(Flicker)' 현상입니다.
오늘은 실제 플리커 현상이 발생한 조명 사진과 함께, 플리커에 대한 기본 개념과 예방 방법을 소개드립니다.
⚠️ LED모듈 설치 전 반드시 체크하세요
전기 작업 시 안전수칙은 기본입니다!
- ✅ 차단기 OFF 후 작업 시작
- ✅ 젖은 손 금지 – 감전 위험
- ✅ 절연장갑 착용 및 전동드릴 준비
- ✅ 등기구가 무거울 경우 2인 1조 작업 권장
📸 ▼ 플리커 현상 실제 촬영 사진
고객님이 휴대폰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입니다.
멀리서 찍었음에도 LED 조명의 플리커 줄무늬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.
💡 플리커(Flicker)란?
플리커란 전류의 불안정으로 인해 조명이 매우 빠르게 깜박이는 현상을 말합니다.
사람의 눈으로는 잘 감지되지 않지만, 카메라(특히 슬로우모션)로 촬영하면 선명하게 보입니다.
플리커의 주요 원인:
- 역률(PF)이 낮은 LED 컨버터 사용
- 비절연 또는 고전압 LED모듈 사용
- SMPS(전원공급장치) 품질 불량
- 저품질 LED칩 또는 회로 설계 미흡
📊 ▼ 플리커 기준 및 권장치 도표
미국 IEEE와 유럽의 권장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:
구분플리커 퍼센트(%)시각적 인식 여부설명
20% 이하 | ❌ 인식 어려움 | 비교적 안전 | |
20% 초과 | ⚠️ 인식 가능 | 피로, 두통, 눈의 피로 유발 가능성 ↑ | |
50% 이상 | 🔴 고위험 | 시각적 불쾌감, 건강 영향 가능성 ↑ |
⚠️ 주의: 플리커 퍼센트가 낮다고 해서 건강에 100% 안전하다는 보장은 아닙니다.
🚫 플리커가 주는 건강 영향?
현재까지 플리커 현상이 인체에 해롭다는 결정적인 과학적 연구 결과는 없지만,
다양한 보고에서 다음과 같은 불편함 또는 증상이 언급되고 있습니다:
- 👁️ 눈의 피로감, 시야 흐림
- 🤕 두통, 울렁거림
- 😵 집중력 저하, 피로 누적
- ⚡ 민감한 사람에게는 광민감성 간질 유발 가능성도 논의됨
✅ 플리커를 피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?
제품 선택 시 체크리스트:
항목권장 사양
안정기(컨버터) | 절연형, 역률 0.9 이상 |
LED모듈 전압 | 저전압 (DC 방식) 또는 SMPS 내장형 |
컨버터 품질 | KC 인증 / 고역률 제품 |
눈 건강 고려 | 플리커프리(Flicker-Free) 제품 명시 여부 확인 |
🔚 마무리하며
플리커는 단순히 ‘깜빡이는 조명’이 아니라,
눈의 피로, 두통, 집중력 저하 등 다양한 불편을 초래할 수 있는 조명의 숨겨진 위험 요소입니다.
눈에 보이지 않아 무시하기 쉽지만, 실제로는 장시간 노출 시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.
조명 교체 또는 LED 리폼을 고려하신다면 반드시 플리커 여부를 확인하시고,
절연형 컨버터와 고역률 LED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
🔗 자세한 제품 정보 및 플리커프리 LED모듈 상담은
패밀리라이팅 스마트스토어에서 확인해보세요.
반응형
'LED모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삼성 S6 비절연 LED모듈 리폼 설치 사례 전문가가 진행한 거실 방등 교체 (99) | 2023.10.30 |
---|---|
차단기 떨어지는 현상? 고객이 직접 설치한 거실등 배선 문제 해결 사례 (239) | 2023.10.26 |
LED전등 교체시 주의 할점 전원선을 잘 못 연결한 예 (330) | 2023.10.22 |
LED칩 고장 날 때마다 납땜으로 연명하던 거실등의 끝 삼성 S6 LED로 리폼 교체! (87) | 2023.10.17 |
디밍 전자식 5구 스위치 고장! 일반 기계식 스위치로 교체하는 방법 (170) | 2023.10.1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