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LED모듈

플리커 Flicker 현상이란? 조명 설치 시 반드시 알아야 할 점

by 패밀리알리미 2023. 10. 24.
반응형

🔦 플리커(Flicker) 현상이란? – 조명 설치 시 반드시 알아야 할 점

LED조명을 설치하거나 리폼할 때 간과되기 쉬운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'플리커(Flicker)' 현상입니다.
오늘은 실제 플리커 현상이 발생한 조명 사진과 함께, 플리커에 대한 기본 개념과 예방 방법을 소개드립니다.


⚠️ LED모듈 설치 전 반드시 체크하세요

전기 작업 시 안전수칙은 기본입니다!

  • 차단기 OFF 후 작업 시작
  • 젖은 손 금지 – 감전 위험
  • 절연장갑 착용 및 전동드릴 준비
  • 등기구가 무거울 경우 2인 1조 작업 권장

📸 ▼ 플리커 현상 실제 촬영 사진

 

고객님이 휴대폰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입니다.
멀리서 찍었음에도 LED 조명의 플리커 줄무늬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.


💡 플리커(Flicker)란?

플리커란 전류의 불안정으로 인해 조명이 매우 빠르게 깜박이는 현상을 말합니다.
사람의 눈으로는 잘 감지되지 않지만, 카메라(특히 슬로우모션)로 촬영하면 선명하게 보입니다.

플리커의 주요 원인:

  • 역률(PF)이 낮은 LED 컨버터 사용
  • 비절연 또는 고전압 LED모듈 사용
  • SMPS(전원공급장치) 품질 불량
  • 저품질 LED칩 또는 회로 설계 미흡

📊 ▼ 플리커 기준 및 권장치 도표

 

미국 IEEE와 유럽의 권장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:

구분플리커 퍼센트(%)시각적 인식 여부설명
20% 이하 ❌ 인식 어려움 비교적 안전  
20% 초과 ⚠️ 인식 가능 피로, 두통, 눈의 피로 유발 가능성 ↑  
50% 이상 🔴 고위험 시각적 불쾌감, 건강 영향 가능성 ↑  
 

⚠️ 주의: 플리커 퍼센트가 낮다고 해서 건강에 100% 안전하다는 보장은 아닙니다.


🚫 플리커가 주는 건강 영향?

현재까지 플리커 현상이 인체에 해롭다는 결정적인 과학적 연구 결과는 없지만,
다양한 보고에서 다음과 같은 불편함 또는 증상이 언급되고 있습니다:

  • 👁️ 눈의 피로감, 시야 흐림
  • 🤕 두통, 울렁거림
  • 😵 집중력 저하, 피로 누적
  • ⚡ 민감한 사람에게는 광민감성 간질 유발 가능성도 논의됨

✅ 플리커를 피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?

제품 선택 시 체크리스트:

항목권장 사양
안정기(컨버터) 절연형, 역률 0.9 이상
LED모듈 전압 저전압 (DC 방식) 또는 SMPS 내장형
컨버터 품질 KC 인증 / 고역률 제품
눈 건강 고려 플리커프리(Flicker-Free) 제품 명시 여부 확인
 

🔚 마무리하며

플리커는 단순히 ‘깜빡이는 조명’이 아니라,
눈의 피로, 두통, 집중력 저하 등 다양한 불편을 초래할 수 있는 조명의 숨겨진 위험 요소입니다.

눈에 보이지 않아 무시하기 쉽지만, 실제로는 장시간 노출 시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.
조명 교체 또는 LED 리폼을 고려하신다면 반드시 플리커 여부를 확인하시고,
절연형 컨버터와 고역률 LED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

🔗 자세한 제품 정보 및 플리커프리 LED모듈 상담은
패밀리라이팅 스마트스토어에서 확인해보세요.

 

 

 

반응형